맨위로가기

쿠르트 슈마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르트 슈마허는 1895년 서프로이센에서 태어난 독일의 정치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부상을 입고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베를린 대학교에서 법학과 정치학을 전공하고 사회주의 사상을 접한 후, 1918년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나치당을 비판하며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나, 나치 집권 후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에서 10년 가까이 수감 생활을 했다.

2차 세계 대전 후 SPD를 재건하고 서독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공산주의에 반대하며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했다. 1949년 서독 총선에서 SPD를 이끌었지만, 콘라트 아데나워에게 패배했다. 유럽 통합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195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당대표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은 1875년 설립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60만 명의 당원들이 지역 단위에서 의결권을 행사하며, 사회적 시장경제를 지향하고,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 게르하르트 슈뢰더, 올라프 숄츠 등 여러 총리를 배출했다.
  • 독일의 당대표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는 독일의 정치인이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총리실장, 외무장관, 부총리를 거쳐 2017년부터 독일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동방 정책 추진과 민스크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으로 바뀌었다.
  • 사회당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은 1875년 설립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60만 명의 당원들이 지역 단위에서 의결권을 행사하며, 사회적 시장경제를 지향하고,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 게르하르트 슈뢰더, 올라프 숄츠 등 여러 총리를 배출했다.
  • 사회당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는 독일의 정치인이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총리실장, 외무장관, 부총리를 거쳐 2017년부터 독일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동방 정책 추진과 민스크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으로 바뀌었다.
  • 서프로이센 출신 - 막스 슈티르너
    막스 슈티르너는 1806년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이며,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 개인의 절대적 자유와 이기심을 강조하며 모든 외부 권위에 대한 비판을 펼쳐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서프로이센 출신 - 이다 지크만
    이다 지크만은 베를린 장벽 건설 당시 동서 베를린 경계에 위치한 자신의 집에서 탈출하려다 사망한 간호사로,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최초의 사망자로 기록되었으며, 그녀의 죽음은 분단의 비극성을 상징한다.
쿠르트 슈마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쿠르트 슈마허
원어 이름Kurt Ernst Carl Schumacher
출생일1895년 10월 13일
출생지독일 제국 서프로이센 쿨름 (현재의 폴란드 헤움노)
사망일1952년 8월 20일
사망지서독
국적독일
정당독일 사회민주당
직업법률가, 정치인
정치 경력
사회민주당 대표에리히 올렌하우어
빌헬름 크노테
사회민주당 대표 임기 시작1946년 5월 10일
사회민주당 대표 임기 종료1952년 8월 20일
사회민주당 대표 전임한스 포겔
사회민주당 대표 후임에리히 올렌하우어
독일 연방의회 야당 대표 임기 시작1949년 9월 7일
독일 연방의회 야당 대표 임기 종료1952년 8월 20일
독일 연방의회 야당 대표 전임신설 직책
독일 연방의회 야당 대표 후임에리히 올렌하우어
독일 연방의회 사회민주당 대표에리히 올렌하우어
카를로 슈미트
독일 연방의회 사회민주당 대표 임기 시작1949년 9월 7일
독일 연방의회 사회민주당 대표 임기 종료1952년 8월 20일
독일 연방의회 사회민주당 대표 전임신설 직책
독일 연방의회 사회민주당 대표 후임에리히 올렌하우어
독일 연방의회 의원 (하노버 남부) 임기 시작1949년 9월 7일
독일 연방의회 의원 (하노버 남부) 임기 종료1952년 8월 20일
독일 연방의회 의원 (하노버 남부) 전임선거구 신설
독일 연방의회 의원 (하노버 남부) 후임에른스트 빈터
독일 제국 의회 의원 (뷔르템베르크 선거구) 임기 시작1930년 10월 13일
독일 제국 의회 의원 (뷔르템베르크 선거구) 임기 종료1933년 6월 22일
독일 제국 의회 의원 (뷔르템베르크 선거구) 전임다수 선거구
독일 제국 의회 의원 (뷔르템베르크 선거구) 후임선거구 폐지
뷔르템베르크 주 의회 의원 (슈투트가르트) 임기 시작1924년 5월 4일
뷔르템베르크 주 의회 의원 (슈투트가르트) 임기 종료1931년 1월 26일
뷔르템베르크 주 의회 의원 (슈투트가르트) 전임다수 선거구
뷔르템베르크 주 의회 의원 (슈투트가르트) 후임에르하르트 슈네켄부르거
학력
모교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2. 생애

1995년 발행된 슈마허 탄생 100주년 기념 우표


1895년 서프로이센 쿨름(현 폴란드 헤움노)에서 태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학업을 중단하고 독일군에 입대했으며, 전투 중 중상을 입어 오른팔을 절단했다.[3] 전쟁 후 법학정치학을 공부하며 사회주의 사상에 깊이 공감하게 되었고, 1918년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슈투트가르트에서 당 지역 신문 편집자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고,[4] 1924년 주 의회 의원, 1930년 국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3] 그는 일찍부터 나치즘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강력히 비판했다.[5]

1933년 나치가 집권하자 정치 활동 금지 조치를 당하고 체포되어 약 10년간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 혹독한 수감 생활을 견뎌냈다.[3] 이 시기 건강이 크게 악화되었으나, 정치 활동 재개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6]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슈마허는 나치에 협력하지 않은 지도자로서의 명성을 바탕으로 SPD 재건을 주도했다.[8] 그는 하노버를 중심으로 서독 지역 SPD를 이끌며 독일의 재통일사회주의 독일 건설을 목표로 삼았다. 특히 나치 협력 세력으로 간주된 중공업 자본의 국유화를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소련 점령 지역의 SPD 지도부와 KPD와의 합당 문제로 갈등을 겪었으며, 공산주의에 대해서도 나치즘 못지않게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1949년 서독 건국 후 초대 총리 선거에서 콘라트 아데나워가 이끄는 기독교민주연합(CDU)에 패배하여 제1야당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아데나워 정부의 서방 중심 정책, 유럽 통합 움직임(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유럽 방위 공동체 등), 서독 재무장 등에 대해 독일 통일을 저해하고 외세의 영향력을 강화한다며 강하게 반대했다. 그의 강경한 반대 노선은 때로 당내외에서 비판받기도 했지만, 전후 서독 정치에서 양당제 구도를 확립하고 건강한 정책 경쟁을 유도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1977년 빌리 브란트 전 서독 총리가 에리히 올렌하우어 하우스(Erich-Ollenhauer-Haus)에서 쿠르트 슈마허 기념 전시회 개막식에 참석한 모습


오랜 수감 생활의 후유증과 과로로 건강이 계속 악화되어 1948년에는 다리 절단 수술을 받았고,[11] 1951년에는 뇌졸중을 겪었다.[12] 결국 1952년 8월 갑작스럽게 사망했다.[13] 그의 장례식에는 수많은 시민들이 참여하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2. 1. 생애 초기

슈마허의 생가.


1895년 10월 13일 프로이센 왕국 서프로이센 지방의 쿨름(독일어: Kulm, 현재 폴란드 헤움노)에서 소규모 사업가의 아들로 태어났다.[15] 그의 아버지는 사업에는 크게 성공하지 못했지만, 자유주의 성향의 독일 자유사상당 당원으로 시의회 의원을 지내는 등 정치 활동에 적극적이어서 슈마허에게 영향을 주었다. 슈마허는 뛰어난 학생이었으며, 그가 살던 쿨름은 폴란드인이 다수였고 그의 친구 중에도 폴란드인이 많았으나 학교에서는 폴란드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러한 환경은 그의 세계관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소년 시절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글을 읽으며 사회주의 사상을 접했고, 교조적인 마르크스주의공산주의의 위험성을 일찍부터 인식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개전 다음 날 학업을 중단하고 독일군에 자원 입대했다. 그의 고향이 적국인 러시아 제국과의 국경에서 불과 30km 거리에 있었던 점도 영향을 미쳤다. 그해 12월, 동부 전선의 폴란드 우와츠 서쪽 비엘라위 (혹은 보비치 부근) 전투에서 중상을 입어 오른팔을 절단해야 했다.[3] 이후 이질까지 앓아 185cm의 키에 체중이 72kg에서 45kg까지 줄어드는 등 건강이 악화되어 결국 군에서 제대했다. 그는 이 공로로 철십자훈장 2급을 받았다. 전쟁 후 그의 고향 쿨름은 신생 폴란드 영토가 되었고, 그의 가족 중 일부는 독일로 이주하고 일부는 남는 등 혼란을 겪었다. 당시 쿨름 행정 법원에서 일하던 슈마허는 이러한 상황을 직접 목격했다.

전역 후인 1915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학업을 재개했다. 1915년부터 1919년까지 할레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에서 법학정치학을 공부하고 졸업했다.[3] 베를린에서 공부하는 동안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영향을 받아 열렬한 사회주의자가 되었고, 1918년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했다. 그는 독일 혁명 시기 베를린에서 전역 군인들을 모아 노동자·병사 평의회 결성에 참여했지만, 혁명적 좌파 세력의 권력 장악 시도에는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1920년 SPD는 그를 슈투트가르트로 파견하여 당 지역 신문인 Schwäbische Tagwacht|슈바비셰 타크바흐트de의 편집을 맡겼다.[4] 1924년에는 뷔르템베르크 자유인민국의 주 의회(란트타크)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또한 공화주의 조직이자 바이마르 공화국의 민주주의 수호를 목표로 한 국가기호 흑적금의 슈투트가르트 지부 의장을 맡기도 했다.[4]

1930년 슈마허의 공식 국회 사진


1928년 슈마허는 뷔르템베르크 주 SPD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점차 세력을 키우던 나치당에 맞서기 위해 사회주의 민병대 조직에 기여했다. 1930년에는 전국 의회인 국회(라이히스타크) 의원으로 선출되었다.[3] 1932년 8월에는 SPD 중앙당 지도부(Parteivorstand)에 선출되었는데, 당시 38세로 국회의원 중 가장 젊은 SPD 당원이었다.

2. 2. 정치 활동



쿠르트 슈마허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부상 이후 법학과 정치학을 공부하며 사회주의 사상을 접했다.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영향을 받아 1918년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했으며, 같은 해 독일 혁명 당시 베를린에서 노동자·병사 평의회 활동에 참여했다.[3] 이후 슈투트가르트에서 당 지역 신문 편집자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4]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슈마허는 1924년 뷔르템베르크주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28년에는 주 SPD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의회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국가기호 흑적금 활동에도 참여했으며,[4] 점차 세력을 키우던 나치당과 독일 공산당 모두를 날카롭게 비판했다. 특히 독일 공산당에 대해서는 비민주적 운영 방식과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력을 문제 삼았다. 1930년에는 전국 의회인 국회에 진출하여[3] 나치즘에 대한 강력한 반대자로 부상했다.

1933년 나치가 집권하고 전권위임법을 통과시키려 하자, 슈마허는 SPD 당수 오토 벨스와 함께 이에 대한 저항의 선봉에 섰다. 이로 인해 그는 정당 활동이 금지된 직후 체포되어 약 10년간 나치 강제 수용소 생활을 보냈다. 그는 "전향"을 거부하고 다하우 강제 수용소 등 여러 곳을 전전하며 혹독한 수감 생활을 겪었고, 이 과정에서 건강이 크게 악화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 영국군에 의해 해방되었다.[3]

전후 슈마허는 SPD 재건을 주도하며 서독 정치의 중심인물로 부상했다. 1946년 서방 점령 지역 SPD의 지도자로 선출된 그는[8] 나치 시대에 타협하지 않은 지도자로서 높은 도덕적 권위를 지녔으나, 때로는 강경하고 독선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는 독일의 재통일사회주의 독일 건설을 목표로 삼았으며, 특히 나치에 협력했던 중공업 자본의 국유화를 강력히 주장했다. 콘라트 아데나워가 이끄는 기독교민주연합(CDU)과는 정치 노선에서 첨예하게 대립했다.

서독 첫 총선에서 SPD는 CDU/CSU 연합에 밀려 제1야당이 되었으며, 슈마허는 야당 지도자로서 아데나워 정부의 서방 편향 정책과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유럽 방위 공동체 등 유럽 통합 움직임, 그리고 서독의 재무장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는 독일 통일을 저해하고 자본주의와 외세의 지배를 강화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의 강직하고 타협하지 않는 태도는 전후 서독 정치에서 건설적인 정책 경쟁과 안정적인 양당제 정착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오랜 수감 생활의 후유증과 건강 악화로 1952년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2. 2. 1. 사민당(SPD) 입당과 초기 정치 활동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영향을 받아 열렬한 사회주의자가 된 슈마허는 1918년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가입했다.[3]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대한 후 1916년 SPD 계열의 귀환 병사 단체에 가입한 바 있다. 1918년 11월 독일 혁명이 일어났을 때 베를린에 있었으며, 오토 브라운 등과 함께 노동자·병사 평의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혁명적 좌파 세력의 권력 장악 시도에는 반대했다.

1920년, SPD는 그를 슈투트가르트로 파견하여 당의 지역 신문인 ''Schwäbische Tagwacht|슈바비셰 타크바흐트de''를 편집하게 했다.[4] 1924년에는 뷔르템베르크 자유인민국의 주 의회(란트타크)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독일의 의회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새로 설립된 단체인 국가기호 흑적금의 지역 공화주의 조직 "Schwabenland|슈바벤란트de"로 이적하여 슈투트가르트 지부 의장을 맡았다.[4]

1928년 그는 뷔르템베르크 주 SPD 지도자가 되었다. 이 무렵부터 슈마허는 부상하는 나치당과 독일 공산당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자가 되었다. 그는 나치에 맞서 사회주의 민병대를 조직하는 데 기여했으며, 독일 공산당에 대해서는 그 운영의 비민주적 성격과 소비에트 연방의 지도를 받는 점을 비판했다.

1930년 그는 전국 의회인 국회에 선출되었다.[3] 1932년 8월에는 SPD 당 지도부(Parteivorstandde)에 선출되었다. 당시 38세였던 그는 국회의원 중 가장 젊은 SPD 당원이었다.

2. 2. 2. 나치 집권 치하

슈마허의 다하우 수감 기록 사진, 1936년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슈마허는 슈투트가르트에서 독일 사회민주당(SPD) 계열 신문 편집자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쌓았다. 1924년 뷔르템베르크주 의회 의원에 당선되었고, 1928년부터는 당 의원단장을 맡았다. 이 시기부터 그는 나치당과 독일 공산당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했다. 특히 독일 공산당에 대해서는 민주적이지 못한 당 운영 방식과 소비에트 연방의 지도를 받는 점을 비판했다.

1930년 제국의회 의원에 처음 당선된 슈마허는 세력을 확장하던 나치에 격렬하게 저항했다. 1932년 2월 23일 라이히스타크 연설에서는 나치즘을 "인간 내면의 짐승성에 대한 끊임없는 호소"라고 비난하며, 이 운동이 "인간의 어리석음을 끊임없이 동원하는 데" 독보적으로 성공했다고 말했다.[5] 그는 바이마르 공화국제국의회 위원 시절(1930년~1933년) 나치스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발언을 자주 했다.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하고 나치가 제출한 전권위임법이 통과되면서 나치 이외의 모든 정당은 불법화되었다. 슈마허는 국회의원직에서 강제로 쫓겨났고, 소속 정당인 독일 사회민주당(SPD) 역시 불법화되어 정치 탄압을 받게 되었다. SPD 당수 오토 벨스와 함께 전권위임법에 대한 저항의 선봉에 섰던 슈마허는 SPD가 금지되기 두 주 전인 1933년 7월 체포되어 감옥에서 심한 구타를 당했다.[6] 그는 석방 조건으로 정치 활동 포기 선언서 서명을 제안받았지만, 프리츠 바우어(Fritz Bauer) 등 다른 정치범들과 달리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6]

슈마허는 히틀러의 지배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 믿고 해외 망명을 거절했다.[16] 이후 체포되어 약 10년간 나치 강제 수용소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하우버그(Lager Heuberg), 쿠버그(Oberer Kuhberg concentration camp), 플로센뷔르크(Flossenbürg concentration camp), 다하우(Dachau concentration camp) 등 여러 수용소를 전전했으며,[3] 이 중 뮌헨 외곽의 다하우 강제 수용소에서는 8년을 보냈다.[16] 수용소 생활은 기아질병, 모진 고문으로 가득했지만, 슈마허는 '독재자보다 오래 살아남아 정권을 잡고 새로운 독일을 건설하겠다'는 일념으로 버텨냈다.

나치 수용소는 처음에는 유대인,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 등 나치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긴 사람들을 수용했지만, 1940년부터 동부 전선에서 이송된 수감자들로 인해 과밀해지면서 질병과 기아가 만연했다. 1941년부터 시작된 "14f13 작전"에 따라 노동 능력이 없다고 판단된 수감자들은 즉결 처형되었으나, 슈마허와 다른 일부 장애인 참전용사들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을 위해 복무하다 장애를 입었다는 것을 전쟁 훈장으로 증명하여 목숨을 건졌다. 수용소 상황은 계속 악화되어 1943년에는 수감자의 거의 절반이 사망했으며, 특히 노이엔가메 강제 수용소(Neuengamme concentration camp)에서는 10만 6천 명의 수감자 중 거의 절반이 사망했다.[7]

나치 당국은 1943년 3월, 슈마허가 죽음 직전에 이르러 더 이상 해를 끼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다하우 수용소에서 석방했다.[16][3] 그는 하노버에서 살도록 지시받았고, 그곳에서 요양하며 다른 사회민주주의자들과 접촉하여 히틀러 이후의 미래를 계획했다.[17] 그러나 슈마허는 1944년 말 다시 체포되어 노이엔가메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3] 그는 1945년 4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 진격해 온 영국군에 의해 해방되었다.[3]

2. 2. 3. SPD 재건과 연합군 점령 통치기 활동

슈마허는 SPD를 이끌고 독일을 사회주의 국가로 만들고자 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부터 당 재건에 착수했다. 아직 연합군 점령 당국에 의해 정치 결사가 금지되었던 1945년 5월, 그는 이미 하노버에서 당 재조직을 시작하며 지역 대표로 선출되었다. 1945년 10월 5일부터 7일까지 하노버에서 열린 당 대회를 통해 SPD는 12년의 공백을 깨고 공식적으로 재건되었다. 이 대회에는 영국에 망명해 있던 에리히 오렌하우어와 소련 점령 지역의 오토 그로테볼도 참여했다.

그러나 곧 SPD 내 노선 갈등이 불거졌다. 소련 점령 지역의 지도자였던 그로테볼은 좌파 세력이 단결하지 못해 나치의 집권을 막지 못했다는 판단 아래, SPD가 KPD와 합병하여 통일된 사회주의 정당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슈마허는 나치즘뿐만 아니라 공산주의에도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이었기에 이 제안을 단호히 거부했다. 결국 그로테볼이 이끄는 동부 SPD는 KPD와 합병하여 SED을 창당했으며, 이는 사실상 이름만 바꾼 KPD와 다름없었다. 합병 과정에서 소수의 반대파들은 "슈마허의 대리인"으로 낙인찍혀 배제되었다.

서방 점령 지역에서는 슈마허의 영향력이 커져갔다. 1946년 1월, 영국과 미국 점령 당국은 슈마허를 지도자로 하여 SPD가 전국 정당으로 재편성되는 것을 허용했다. 나치 시대 동안 독일 내에서 타협하지 않고 저항했던 유일한 SPD 지도자라는 점은 그에게 큰 정치적 자산이 되었다. 1946년 8월, 하노버에서 열린 SPD 전당대회에서 그는 압도적인 지지로 서방 지역 SPD의 지도자로 선출되었다.[8] 슈마허는 때로는 독재적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며 당을 이끌었고, 당원들에게 당의 결정에 따를 것을 요구했다.

슈마허는 새로운 독일 건설 과정에서 자신의 노선을 관철시키려 노력했다. 그는 특히 나치의 집권에 자금을 댔다고 비판한 중공업의 국유화를 포함한 사회주의 정책을 강력히 추진했다. 1946년 연합군 군정 당국이 그에게 뷔르템베르크-바덴 주의 수상직을 제안했지만, 자신의 영향력이 지방에 국한될 것을 우려하여 거절했다. 대신 영국군 점령 지역의 평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넓히려 했다. 그는 연합군 점령 당국의 정책에도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으며, 이로 인해 프랑스군 점령 당국으로부터 연설 금지 조치를 받기도 했다.

이 시기 슈마허의 주요 경쟁자는 쾰른의 전 시장이자 CDU를 창당하여 보수 세력을 규합한 콘라트 아데나워였다. 미국은 독일에서 사회주의의 확산을 경계하며 아데나워를 지원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데나워는 사회주의에 원칙적으로 반대했으며, 연합군과의 협력을 통해 독일의 주권을 조속히 회복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주장했다.

슈마허는 1948년과 1949년 내내 통일된 사회주의 독일을 위해, 특히 중공업 국유화를 위해 선거운동을 벌였다. 연합군 점령 당국이 그의 생각에 반대하자 그는 그들을 비난했다. 아데나워는 원칙적으로 사회주의에 반대했고, 연합군과 협력하는 것이 독일의 자치를 회복하는 가장 빠른 길이라고 주장했다.

1949년 기본법 제정 과정에서도 슈마허는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강력한 대통령제를 갖춘 새로운 헌법을 원했고, 스스로 그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나 연합군과 CDU는 연방제를 기반으로 한 약한 중앙 정부를 선호했다. 슈마허는 초기 초안에 강하게 반발하며 양보를 거부했고, 결국 소련의 위협에 맞서 안정적인 서독 국가 건설을 원했던 연합군은 연방 정부가 주 정부보다 우위에 있다는 점 등 슈마허의 요구 일부를 수용했다. 대통령의 권한은 제한되었지만, 연방 정부는 주 정부보다 우월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한편, 탈나치화 문제에 대해서 슈마허는 복합적인 입장을 보였다.

"CDU 라이벌과 마찬가지로 슈마허는 연합군의 탈나치화 프로그램의 광범위한 성격과 연합군 전범 재판의 결점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소규모 나치' 특히 히틀러 유겐트 전 회원들을 국가에 통합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심지어 무장친위대(Waffen-SS) 회원들의 포함을 요구하기까지 했다. 그는 또한 1951년 아데나워의 법률 131호를 지지했는데, 이 법률은 전 NSDAP 관료, 경찰 및 기타 공무원들에게 연금과 투표권을 부여했다. 그는 1951년 란츠베르크에서 마지막 주요 나치 전범들의 처형에도 항의했다."[9]

2. 2. 4. 독일연방공화국(서독) 정치 활동

슈마허가 이끄는 독일 사회민주당(SPD)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에게 더 이상의 양보를 중단하고 주권 국가로서의 권리를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45년 5월 이후 그는 이미 연합 점령 당국의 허락 없이 하노버에서 SPD 재건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곧 SPD의 소련 점령 지역 지도자였던 오토 그로테볼과 갈등을 겪었는데, 그로테볼은 SPD가 KPD와 합병하여 통일 사회주의 정당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슈마허는 나치즘 반대만큼이나 공산주의에도 강력히 반대하며 이 제안을 거부했다. 결과적으로 동독 지역에서 SPD는 KPD와 합병하여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을 형성했으나, 이는 사실상 이름만 바꾼 KPD에 가까웠다. 합병에 반대한 동부 SPD 소수파는 "슈마허의 대리인"으로 낙인찍혔다.

1946년 1월, 영국과 미국 점령 당국은 슈마허를 지도자로 하여 SPD가 서독 지역에서 전국 정당으로 재편성되는 것을 허용했으며, 같은 해 8월 하노버에서 열린 SPD 전당대회에서 그는 서방 지역 SPD 지도자로 공식 선출되었다.[8] 나치 시대 동안 독일에 남아 비협력 노선을 걸었던 거의 유일한 SPD 지도자였던 그는 상당한 정치적 명성을 누렸고 새로운 독일을 이끌 자격이 있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그의 주요 경쟁자는 쾰른 시장 출신의 콘라트 아데나워였는데, 그는 미국 측의 지원을 받으며 전쟁 전 독일 보수주의자 대부분을 규합하여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을 창당했다. 슈마허는 통일된 사회주의 독일 건설을 목표로, 특히 나치 집권에 자금을 댔다고 비판한 중공업의 국유화를 주장하며 선거 운동을 벌였다. 연합군 점령 당국이 그의 구상에 반대하자 그는 연합국을 비난하기도 했다. 반면 아데나워는 원칙적으로 사회주의에 반대했으며, 연합국과의 협력을 통해 독일의 자치권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라고 주장했다.

1949년 기본법(Grundgesetz) 제정 과정에서 슈마허는 강력한 국가 대통령직을 원했으나, 연합군과 CDU가 선호하는 약한 중앙 정부를 가진 연방제 안에서 타협해야 했다. 그럼에도 그는 소련의 도전에 직면하여 새로운 독일 국가의 기능을 원했던 연합군으로부터 일부 양보를 얻어내 연방 정부가 주 정부보다 우월한 권한을 갖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나치즘에 대한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슈마허의 탈나치화(Denazification) 프로그램에 대한 입장은 복합적이었다.

> "CDU 경쟁자들과 마찬가지로 슈마허는 연합군의 탈나치화 프로그램의 광범위한 성격과 연합군 전범 재판의 결점을 비판했다. 그는 '소규모 나치', 특히 히틀러 유겐트 전 회원들을 국가에 통합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심지어 무장친위대(Waffen-SS) 회원들의 포함을 요구하기까지 했다. 그는 또한 1951년 아데나워의 법률 131호(전 나치당 관료, 경찰 등 공무원의 연금 및 투표권 부여)를 지지했다. 그는 1951년 란츠베르크(Landsberg)에서 마지막 주요 나치 전범들의 처형에도 항의했다."[9]

1949년 8월 실시된 서독의 첫 총선에서 슈마허는 SPD의 승리를 확신했고 많은 관측통들도 이에 동의했으나, 결과는 예상과 달랐다. 아데나워의 CDU는 여러 요인에서 유리했다. SPD의 전통적 지지 기반이었던 지역 상당수가 소련 점령 하의 동독에 편입되었고, 반대로 바이에른이나 라인란트 같은 보수적인 지역들이 서독에 포함되었다. 또한 미국과 프랑스 점령군은 아데나워를 지지하며 선거 운동을 도왔다. 냉전의 심화는 서독 내에서도 반사회주의 정서를 강화시켰는데, 슈마허는 공산주의자들을 "빨갛게 칠한 파시스트"라고 맹비난했음에도[10] 불구하고 그의 "민주적 사회주의" 비전과 동독 공산주의 현실 사이의 연관성 때문에 대중의 인식 속에서 불리함을 겪었다. 더불어 CDU 소속 루트비히 에르하르트가 주도한 통화 개혁 이후 독일 경제가 회복세를 보인 점, 그리고 1948년 9월 혈전증으로 왼쪽 다리를 절단하는 수술을 받는 등[11] 슈마허 자신의 건강 악화도 불리하게 작용했다. 선거 결과, SPD는 단일 정당으로는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나, CDU와 자매 정당인 기독교사회연합(CSU) 연합이 더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결국 CDU는 자유민주당(FDP), 독일당 등과 중도우파 연정을 구성하여 아데나워가 초대 총리로 선출되었다. 슈마허는 이 결과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SPD 당내의 대연정 참여 주장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부하고 야당 지도자의 길을 선택했다. 그는 의회 협력을 거부하며 CDU를 자본가와 외세의 앞잡이라고 비난했다. 같은 해 실시된 초대 연방대통령 선거에도 출마했으나, 자유민주당 후보 테오도르 호이스에게 패배했다.

야당 지도자로서 슈마허는 서방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아데나워의 정책을 자본주의적이며 독일 통일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유럽 평의회,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 유럽 방위 공동체(EDC) 등 새롭게 등장하는 유럽 협력 기구들을 자본주의를 강화하고 연합국의 독일 지배를 연장하려는 수단으로 보고 반대했다. 특히 1950년대 초 아데나워가 프랑스 외무장관 로베르 쉬망의 제안을 받아들여 ECSC 창설에 동의하자('쉬망 플랜'), 슈마허는 이를 '독일 산업을 장악하려는 프랑스 자본가들의 음모'라고 맹비난했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다른 서유럽 사회주의 정당들의 입장과 배치되기도 했고, 결국 SPD는 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럽 평의회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또한 서독의 재무장 문제와 관련하여 '유럽 방위 공동체' 구상 등이 논의될 때, 슈마허는 '재무장은 독일 통일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라며 강력히 반대했고, 독일의 국방 문제는 NATO에 의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

노련한 책략가로 평가받아 "여우"라는 별명을 얻은 아데나워와 달리, 슈마허는 강직하고 타협하지 않는 성격으로 "사자"라고 불렸다. 그는 CDU 등과의 안이한 타협을 거부하면서도,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파괴적인 당파 싸움을 교훈 삼아 건설적인 정책 논쟁을 추구했다. 이는 전후 서독 정치의 특징인 안정적인 양당제가 정착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오랜 강제 수용소 생활의 후유증과 1948년 다리 절단 수술 등으로 그의 건강은 계속 악화되었고, 결국 1952년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강렬한 카리스마로 인해 적도 많았지만,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수많은 군중이 에서 하노버의 묘지로 향하는 그의 장례 행렬을 따르며 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3. 죽음과 사후



아데나워의 첫 번째 임기 동안 슈마허는 그의 정부에 반대했지만, 서독의 급속한 경제 성장, 냉전의 심화, 아데나워가 국제 사회에서 독일의 위상을 높인 성공 등으로 인해 슈마허의 정치적 입지는 점차 약화되었다. 특히 1951년 12월 뇌졸중을 겪은 후, SPD 내부에서는 슈마허를 지도자로 하여 다음 선거를 치르는 것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기 시작했다.[12]

그러나 이러한 당내 논의가 무색하게, 슈마허는 1952년 8월 20일 갑작스럽게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13] 그의 죽음은 서독 사회 전체에 큰 슬픔을 안겼다. 그를 지지했던 사회민주주의자들뿐만 아니라 많은 독일 국민들이 그를 '독일의 국익을 위해 헌신한 국민적 인물'로 여기며 애도했고, '그의 죽음으로 한 시대가 막을 내렸다'고 평가했다. 슈마허는 병세가 위중함을 알았을 때 '자신을 하노버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에 따라 SPD는 장례식을 수도 에서 치른 뒤, 그의 관을 하노버로 옮겼다. 장례 행렬은 에서 하노버까지의 고속도로를 가득 메울 정도로 성대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묘는 오늘날 하노버에 있다.[20]

슈마허는 죽기 직전, 1952년 9월 도르트문트에서 열릴 당 대회를 위한 SPD 강령의 서문을 작성했다. 그는 서문에서 "시민 의식과 사회 정의에 의해 뒷받침되는 독일만이 전체주의적 경향을 막아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14]

3. 1. 평화주의

쿠르트 슈마허 사후 사민당(SPD) 내에서는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와 같은 중립주의자와 평화주의자들이 부상하였다. 이들은 동구권소련과의 평화 협상과 정책을 통한 냉전 극복, 즉 동방정책을 이전보다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게 된다.

4. 평가와 비판

쿠르트 슈마허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정치에서 국민적 지지를 받았던 지도자였으나, 그의 정치 노선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그는 철저한 반공주의와 진보적 민족주의 성향을 보였으며[21], 사상적으로는 페르디난트 라살과 가까웠고 마르크스주의에는 비판적이었다. 하지만 그의 급진적 민족주의 노선과 냉전 시기 현실을 고려하지 못한 정책, 유럽 회의주의적 태도는 소련 및 서방 연합국과의 갈등을 유발하고 고립을 초래했다는 비판도 받는다.[21]

4. 1. 긍정적 평가

1979년에 발행된 2마르크 동전에 새겨진 쿠르트 슈마허의 모습.


하노버에 있는 쿠르트 슈마허의 묘비.


쿠르트 슈마허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5년부터 1946년 사이에 독일에서 가장 큰 국민적 지지와 기대를 받았던 대중적인 정치 지도자였다.[21] 그는 철저한 반공주의자였으며, 동시에 진보적인 민족주의 성향을 보였다. 개인적으로는 페르디난트 라살의 사상과 가까운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4. 2. 부정적 평가

쿠르트 슈마허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정치에서 국민적 지지와 기대를 받았던 인물이지만, 그의 급진적인 민족주의 노선은 소련과 서방 연합국 모두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또한 냉전이라는 시대적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비현실적인 정책을 내세웠다는 평가도 존재한다.[21]

슈마허는 SPD를 이끌며 독일의 사회주의화를 추구했다. 그는 1945년 점령 당국의 허가 없이 하노버에서 SPD를 재건하기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소련 점령 지역의 SPD 지도자였던 오토 그로테볼과 갈등을 겪었다. 그로테볼은 SPD와 KPD의 합당을 통해 통일된 사회주의 정당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나치즘만큼이나 공산주의에도 강하게 반대했던 슈마허는 이를 거부했다. 결국 동독 지역의 SPD는 KPD와 합병하여 SED를 결성하게 되었고, 이는 사실상 KPD의 연장선상에 있는 정당으로 평가받는다. 합병에 반대한 SPD 내 소수파는 '슈마허의 대리인'으로 몰려 배제되었다.

1946년 서방 점령 지역 SPD의 지도자로 선출된 슈마허는 나치 시대 동안 독일 내에서 협력하지 않고 버텨낸 유일한 SPD 지도자라는 점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8] 그러나 그의 정치적 부상은 미국의 지지를 받으며 CDU를 이끌던 콘라트 아데나워와의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미국은 독일에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아데나워를 지원했다. 슈마허는 통일된 사회주의 독일을 목표로, 특히 나치 집권에 자금을 지원했다고 비판한 중공업의 국유화를 강력히 주장하며 선거 운동을 벌였다. 이는 연합군 점령 당국의 정책 방향과 충돌했으며, 슈마허는 연합군을 비판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반면 아데나워는 사회주의에 원칙적으로 반대했으며, 연합군과의 협력을 통해 독일의 자치권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라고 주장했다.

1949년 기본법 제정 과정에서 슈마허는 강력한 대통령제를 선호하며 자신이 그 자리에 오를 것을 기대했지만, 연합군과 CDU는 약한 중앙 정부를 가진 연방제를 선호했다. 슈마허는 초기에는 양보를 거부했으나, 결국 소련의 위협에 맞서 새로운 독일 국가의 기능을 확보하려는 연합군의 필요에 따라 일부 요구 사항이 받아들여져 연방 정부가 주 정부보다 우위에 서는 절충안이 마련되었다.

나치즘에 대한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슈마허의 탈나치화 프로그램에 대한 입장은 복합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CDU의 경쟁자들과 마찬가지로 슈마허는 연합군의 탈나치화 프로그램의 광범위함과 전범 재판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그는 '소규모 나치', 특히 히틀러 유겐트 출신들을 국가에 통합할 필요성을 인정했으며, 심지어 무장친위대 출신까지 포함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1951년 아데나워 정부가 제정한 법률 131호(과거 나치 관료, 경찰 등 공무원들의 연금 및 투표권 복권)를 지지했다. 그는 란츠베르크 교도소에서 마지막 주요 나치 전범들이 처형된 것에도 항의했다."[9]

사상적으로는 페르디난트 라살과 가까웠으며, 계급 투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며 마르크스주의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또한 그의 유럽 회의주의적 태도는 종종 국제 관계에서 대립과 고립을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5. 정치 노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사회민주당(SPD)을 이끈 쿠르트 슈마허는 사회민주주의 노선을 견지했다. 그는 독일 공산당(KPD)과의 합당에 반대했으며,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하고자 사회주의 요소를 도입하려 했으나, 소련스탈린주의에는 매우 비판적이었다.[22][23] 이 때문에 1947년 냉전이 격화되면서 국제 공산주의 기구인 코민포름은 슈마허를 포함한 사회민주주의 세력을 '주적 제1호'로 지목하고 맹비난했다. 반면, 콘라트 아데나워가 이끄는 기독교민주연합(CDU) 등 보수 진영에서는 그를 '사회주의자'로 몰아 비판하기도 했다.[22][23]

슈마허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부터 나치즘에 강력히 반대했으며, 나치당의 부상에 맞서 사회주의 민병대 조직에도 관여했다. 그는 나치즘뿐만 아니라 공산주의에도 매우 비판적이었다. 전후 SPD 재건 과정에서 소련 점령 지역의 SPD 지도자 오토 그로테볼이 제안한 공산당과의 합당을 단호히 거부했다. 슈마허는 공산주의자들을 "빨간색으로 덧칠한 파시스트"라고 칭하며 강하게 비판했다.[10] 그는 통일된 사회주의 독일 건설을 목표로 삼았고, 특히 나치의 집권 자금을 제공했다고 본 중공업의 국유화를 강력히 주장했다.

전후 독일 정치 체제 수립 과정에서 슈마허는 강력한 중앙 정부와 대통령제를 선호했지만, 연합국과 CDU는 연방제를 선호했다. 1949년 기본법 제정 시, 그는 연방 정부의 우위를 확보하는 등 일부 요구 사항을 관철했다.

탈나치화 문제에 대해 슈마허는 다소 복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연합국의 탈나치화 프로그램 범위가 지나치게 넓고 전범 재판에 결함이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히틀러 유겐트 출신 등 '소극적 부역자'들의 사회 통합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심지어 무장친위대(Waffen-SS) 출신들의 포용까지 주장하기도 했다. 또한 1951년 아데나워 정부가 구 나치 관료들의 연금 수급과 공직 복귀를 허용한 법률(131조)을 지지했고, 마지막 주요 나치 전범들의 사형 집행에도 반대했다.[9]

1949년 서독 연방의회 선거에서 슈마허의 SPD는 단일 정당으로서는 가장 많은 표를 얻었지만, 아데나워의 CDU와 기독교사회연합(CSU) 연합이 자유민주당(FDP), 독일당 등과 연정을 구성하여 집권했다. 이후 슈마허는 아데나워 정부에 대해 강경한 반대 노선을 걸으며 CDU를 '자본가와 외세의 앞잡이'라고 비난했다.

슈마허는 유럽 평의회,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유럽 방위 공동체 등 초기 유럽 통합 움직임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이 기구들이 자본주의를 강화하고 독일의 주권을 제약하며 연합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수단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입장은 다른 서유럽 사회주의 정당들과 마찰을 빚었고, 결과적으로 SPD의 고립을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사상적으로 슈마허는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영향을 받았고, 개인적으로는 페르디난트 라살과 유사하게 국가 중심적 사회주의 경향을 보였다. 그는 계급 투쟁 개념에 비판적이었고 마르크스주의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가졌다.

참조

[1] 웹사이트 Schumacher, Kurt https://www.deutsche[...] Deutsche Biographie 2020-07-08
[2] 서적 Totalitarismuskritik von links deutsche Diskurse im 20. Jahrhundert Vandenhoeck & Ruprecht
[3] 간행물 Für ein neues Deutschland
[4] 웹사이트 Gerade auf LeMO gesehen: LeMO Biografie: Kurt Schumacher https://www.hdg.de/l[...]
[5] 서적 Judt
[6] 서적 Fritz Bauer. The Jewish Prosecutor Who Brought Eichmann and Auschwitz to Trial Indiana University Press 2020
[7] 웹사이트 Neuengamme http://www.ushmm.org[...]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8] 웹사이트 Wie die SPD nach dem Krieg wieder aufgebaut wurde https://www.ndr.de/g[...]
[9] 서적 The Fourth Reich: The Specter of Nazism from World War II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3-14
[10] 학술지 Kurt Schumacher 1949–1952 - Die innere Gestaltung der BRD im Schatten seines Antikommunismus
[11] 웹사이트 Vor 60 Jahren: Todestag von Kurt Schumacher https://www.bundesta[...] Deutscher Bundestag 2012-08-20
[12] 뉴스 Der Mann mit dem leeren, flatternden Ärmel https://www.spiegel.[...] Der Spiegel 1988-04-25
[13] 뉴스 Kurt Schumacher, 56, Dies in Bonn; Headed Opposition to Adenauer; Leader of German Socialists Was Foe of Nazis -- Put Unity Above Ties to West https://www.nytimes.[...] 1952-08-21
[14] 웹사이트 Biografie Kurt Schumacher, in: LeMO-Biografien, Lebendiges Museum Online, Stiftung Haus der Geschichte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http://www.hdg.de/le[...]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박헌영 평전
[23] 뉴스 여운형, 박헌영, 이승만의 忌日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